기고문

'불편할 결심'이 필요할 때

오명실 기후위기 포천시민행동 공동대표

 

‘1회용품 없는 장례식장’을 만들기 위해 지자체의 정책과 지원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2019년 5월 제정한 '포천시 장례식장 이용장려금 지원조례'는 상주에게 제공하는 상조 물품을 다회용기 세척비와 운반비 등 예산지원으로 개정 또는 새로운 조례제정이 필요해 보인다.

 

 

11월 7일, 주요 일회용품 사용을 앞으로 규제하지 않겠다는 환경부 발표는 허탈했다. 전 정부의 자원순환 정책에 착실하게 준비하고 있던 소상공인들은 일방적인 철회에 좌절하였고,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들은 산업계 편만 대변하는 후퇴 정책이라며 규탄 입장을 발표하였다. 기후 가속화 시대에 전 세계는 탄소중립을 위해 쓰레기와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화석연료 에너지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여 1.5℃ 대응을 하고 있다. 

 

 2022년 10월 환경부가 조사한 설문에서 97.7%가 일회용품 사용량 절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87.3%가 일회용품 규제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처럼 많은 국민은 1회용품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는데 정부는 역행 정책을 펼치고 있어 우리가 지키려는 양심을 훼손하고 있다.

 

우리 생활 속에 깊이 배어버린 1회용품 사용의 근본적인 해결은 쓰레기 감량이다.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1회용품은 썩지 않고 소각하면 환경호르몬과 이산화탄소 등 유해 물질이 배출되어 지구를 위협하는 문제로까지 커진다. 몇 분 동안 편리하게 사용하고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에 비해 처리에는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하는 비합리적인 습관이다.

 

국민도 잠시의 불편을 감수하며 플라스틱과 1회용품을 줄이는 탄소중립 생활 실천을 하고 있다. 개인이 노력하여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실천도 필수지만, 수백 명이 모이는 행사에서 1회용품과 장례식장에서 쉽게 사용하고 버려지는 쓰레기를 줄이는 것이 더 지구를 지키고 보존하는 길이다.

 

 며칠 전 포천나눔의집 후원주점에서 여느 행사에서 보기 힘든 다회용기를 사용한 것은 신선하였다. 포천자활센터에서 운영하는 친환경 용기 렌탈과 세척 사업을 하는 라라워시에서 다회용기를 대여한 것이다. 이렇게 1회용기에 대한 인식이 조금씩 점차 변화하고 있을 때, 장례식장의 다회용기 사용 문제는 풀어가야 할 길이 쉽지만은 않다.

 

지난 10월 23일 필자가 포천의 모 신문에 기고했던 내용처럼 ‘1회용품 없는 장례식장’을 만들기 위해 지자체의 정책과 지원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2019년 5월 제정한 '포천시 장례식장 이용장려금 지원조례'는 상주에게 제공하는 상조 물품을 다회용기 세척비와 운반비 등 예산지원으로 개정 또는 새로운 조례제정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같은 해 9월에 제정한 '포천시 1회용품 사용 저감에 관한 조례'가 상충 되고 있다. 더군다나 1회용품 사용 저감에 관한 조례는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실내와 실외 행사에 1회용품을 제공하지 않는 내용인데 거의 모든 행사에 1회용품을 사용하고 있어 유명무실하다. 공공기관이 앞서서 1회용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장례식장에서 상주들이 사용 후 남은 새 1회용품도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져 자원 낭비와 소각 시 탄소를 과다 배출하고 있다. 장례식장은 다회용기 보관 장소 문제, 장례식장 매점이 외부에서 들여오는 물품을 불편해하거나, 편리한 1회용품을 포기 못 해서 세척 시설을 없애거나 만들지도 않는 현실, 상조회사는 다회용기가 무겁다는 이유로 사용 거부, 다회용기가 비위생적이라는 오해 등 여러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내야 한다. 

 

일회용품과 플라스틱을 당장 100% 사용을 안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개인의 실천과 인식 전환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해 어느 정도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정부는 사용규제의 철회가 아니라 다회용품이 확산할 수 있는 정책과, 지방자치단체는 다회용기 사용이 정착될 때까지 인식 전환 교육과 기업 지원 등 적극 행정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