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성 칼럼]워싱턴發 종이비행기

피렌체에서 만난 르네상스 3

필자 김은성은 79년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이민갔다. 메릴랜드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80년부터 96년까지 미국 소아과병원에서 간호사로 근무했다. 97년부터 병원 관리직과 소아산부인과 이사로 근무하다가 퇴직했다.

▲김은성 필자.

 

 

Day-5, 천재들의 도시 
 
쌀쌀한 날씨다.  아침에 숙소를 나설 때 집 열쇠를 두고 나와 문을 잠가서, 아래층 식당 쉐프에게 전화 빌려서 집주인 불렀더니 한달음에 와준다. 친절하기도 하고 사기성 있는 듯 느껴지기도 하는 이탈리아 사람들인데, 돌아서면 늘 친절만 기억에 남는다. 
 
오전수업 1교시, 청렴하고 소박한 생활을 추구하는 도미니카수도회 소속인 산마르코(San Marco) 수도원으로 향한다. 이곳엔 수도사들의 기도와 묵상을 위한 숙소마다 아름답고 성스러운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복도에 그려진 안젤리코 수도사(Fra Angelico)의 '수태고지'는 르네상스를 상징하는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동정녀의 수태 소식을 가브리엘 천사가 전하는 그림은 많으나, 그 배경이 실내였던 그림들과 달리 야외이며 원근법이 사용된 최초의 그림이다.

 

르네상스의 일등공신 코지모 메디치가 수도원을 위해 안젤리코 수도사에게 벽화를 그려달라고 주문했다고 한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메디치 가문에 천문학적인 재물이 허락되어서, 이토록 가슴을 뛰게 하는 아름다운 작품들이 500여 년 세월을 남아있음에 무조건 감사했다.

 


▲수도사들의 거처인 방마다 벽화가 그려져 있다.


1497년 바로 이 수도회 소속인 사보나롤라(Savonarola) 수도사가 메디치 가문이 주도하는 과한 문화 사랑을 비판하며 수많은 예술품과 사치품을 불태운, 민중봉기 같기도 하고 종교개혁 같기도 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을 루터 이전의 종교개혁 태동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메디치는 이 사건으로 리더십에서 쫓겨났다가 1년 후 복권되었고, 주모자였던 수도사들은 베키오 궁전 앞의 광장에서 화형당한 역사를 품고 있는 수도원이다. 


그러나 오늘은, 주교 시켜준다고 해도 사양한 안젤리코(Angelico) 수도사의 작품, 벽화의 성스러운 아름다움만 깊숙이 흡입한다. 살아생전 이미 교황청에도 불려가서 벽화 그리는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아펠레스 (Apelles : 르네상스 화가들이 부러워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전설적인 화가, 신라의 솔거 같은 화가다)같은 재주라고 칭송하는 대신, '예수님의 이름으로 내 가진 모든 것을 주었노라고 기억해달라, 나는 토스카나의 꽃이다.'라는 글을 무덤에 남겼다고 한다. 그리스도의 일을 하는 자는 항상 그리스도와 함께 걸어야 한다는 그의 어록을 묵상하며 그의 프레스코 벽화를 돌아본다. 
 
점심시간이 되어 아침에 전화 빌려준 답례로 우리 집 아래층 식당으로 간다. 여행가이드 책에도 구글에도 언급되지 않아서 가볼 생각이 없었지만, 의리상 매상 올려주기로 한다. 아름답게 장식된 외관 못잖게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지만, 식사비는 너무 저렴하고 맛있어서 깜짝 놀랐다. 다시 올 생각이다. 하루가 멀다고, 두툼한 토스카나 티본 스테이크와 키안티 와인을 마시고 티라미수까지 먹었다. 
 
오후엔 미켈란젤로가 어릴 때 다니던 교회, 프란체스코 성자가 세웠다고 전해지는 산타크로체( Santa Croce)성당으로 간다. 모든 볼거리는 숙소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수다한 피렌체 성당 가운데 아름답기로 소문난 몇 개 중 하나인데, 13세기 우리로 치면 고려 시대에 이렇게 웅장하고 아름다운 건물을 짓고, 오늘날에도 멀쩡하게 남아있음에 감동이 밀려온다.

 

▲산타크로체성당 앞 파사드. 건축가가 유대인 출신이라, 유대인의 상징인 다윗의 별이 건물 중앙에 박혀있다.

 

이곳은 미켈란젤로 비롯한 피렌체 유명인사의 무덤이 있는 성당이라고 보면 된다. 벽에도 바닥에도 온통 무덤이다. 이탈리아가 자랑하는 문호 단테, 피사 출신이지만 죽기 전 이 동네에서 가택 연금상태로 살던 갈릴레오, 군주론을 쓴 마키아벨리, 작곡가 로시니 등등. 
 
대부분 무덤을 장식하는 벽화가 많이 손실되었는데 미켈란젤로의 무덤은 주로 미국 부자들의 성금으로 싹 다 복원되어, 수많은 유명인사 중에 꼭짓점은 역시 미켈란젤로라고 말하고 있다. 

 


▲미켈란젤로의 무덤.

 

역사 가운데 찐한 흔적을 남기고 간 인물들의 유기물이 이곳에 남아 있다고 생각하니, 다시금 관념에만 존재하는 시간의 tangibility(만져짐)를 느낀다. 보이지 않고 만져지지 않는 신을, 육신의 감각으로 만지고 느껴보고 싶은 열망이 그려도 그려도 또 그리고 싶은 성화로 표현되기도 하고, 성물함 안에 보관된 여러 가지 성스러운 물건들이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 여기서 본 프란체스코 성자의 옷이 보관된 성물함은 가톨릭 신자가 아닌 나까지도 가슴을 쿵쾅거리게 한다. 

 

▲13세기 프란체스코 성자의 옷이 담긴 성물함. 

 

은은한 찬송 소리를 따라가 보니 대구에서 성지순례 왔다는 고국의 성도들이다. 우릴 보며 환하게 반겨주는 한 아주머니가 이 성당에서 느끼고 있는듯한 감동이 찌르르 나에게 전달됐다. 

 


 ▲우리나라 고려 시대에 지어진 성당의 내부.


피렌체에서는 요즘도 해마다 평균 12명 정도 여행객들이 비슷한 증상으로 병원으로 실려 온다고 한다. 어지럼, 호흡곤란, 두통 등으로. 심하면 기절까지 하는 의학적으로 설명하기 힘든 형상이다. 이 현상을 19세기 작가 스탕달이 산타크로체성당에 있는지오또(Giotto)의  프레스코를 보고 다리가 후들거리고 현기증이 나던 경험을 글로 남긴 데서 착안해, 1979년 피렌체의 의사가 '스탕달 신드롬'이라고 이름 붙인 심인성 증후군이다. 병원엔 실려 오기까진 아니라도 피렌체에서 이런 증상을 느끼는 사람들이 어찌 12명에 국한되겠는가.


▲프란체스코 성자의 죽음을 그린, 산타크로체성당 지오또의 벽화.

 

명화란 그저 유명해서 명화가 아니고, 나에게 개인적인 감동을 주면 다 명화라고 한다고 미술사 전공자들은 말한다. 오랜 세월 동안, 많은 사람에게 벼락 맞은 듯, 송곳에 찔린 듯, 내 상처를 깊이 만지고 쓰다듬는 듯, 빛으로 인도하는 듯, 새로운 세상을 열어주는 듯한 동요를 퍼부어온 작품들이 아마도 세기의 명화들이 아닐까 하는 것은 내 생각이다. 
 
우피치에서 '스탕달 신드롬'  발현 가능의 가장 위험 장소로 이주헌 작가('지식의 미술관' 저자)가 꼽은 보티첼리의 방. 그곳에 가기 전 르네상스에 대하여 예습하며 이미 그의 그림 '비너스의 탄생'에 대한 충격(?)을 나 같은 문외한이 경험한 걸 보더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벼락을 때리는 것이 바로 명화라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상처받고 싶지 않으면서, 왜 사람들은 한편으론 벼락 맞을만한 감동을 주는 경험을 찾아 헤매는가에 대하여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