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저물어가는 이맘때면 어김없이 그 첫 종소리를 울리는 구세군 자선냄비(Christams Kettles)는 1891년 성탄이 가까워져 올 무렵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유래한다. 굶주림에 허덕여 슬픈 성탄을 맞이해야만 했던 도시 빈민들을 돕기 위해 구세군(Salvation Army) 사관 한 분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냈다.
"이 국솥을 계속 끓게 합시다(Let's keep this soup pot boiling)"
그는 사람들이 붐비는 부두로 나아가 주방에서 사용하는 큰 쇠솥을 내 걸고 그 위에 이렇게 써 붙였다. 옛날 영국에서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누군가가 사용했던 방법이란다. 솥에는 동전과 지폐가 가득 차 얼마 지나지 않아 성탄절에 불우한 이들에게 따뜻한 음식을 제공할 만큼 충분한 기금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웃을 돕기 위해 고민하며 기도하던 한 사관의 따뜻한 마음이 오늘날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매년 성탄이 가까워질 때면 내 거는 구세군 자선냄비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리고 이 정신은 모든 구세군 자선냄비의 종소리를 타고 우리 사회 깊숙이 파고들어 더불어 잘 사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28년 12월 15일, 당시 한국 구세군 사령관이 서울의 도심에 자선냄비를 설치하고 불우이웃돕기를 시작했다. 언 손으로 치켜든 메가폰을 통해 "가난한 이웃을 도웁시다"라고 외치는 자원 봉사자들과 정성으로 화답하는 시민들의 마음이 한데 어우러져 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녹이는 계절의 풍속도로 자리매김했다.
구세군의 제복은 ‘세상을 구하는 군사’인 구세군의 군대식 조직을 대변해준다. 구세군의 병사들은 유니폼을 입음으로써 자신들의 신앙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 확연히 눈에 띄는 복장 때문에 구세군 병사들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는 명분과 용기를 얻기도 한다.
구세군의 군대식 조직은 교회 이름이나 교역자, 교인을 부르는 이름에서도 나타난다. 구세군의 교회는 영문(營門 · Corps) 즉 ‘군대의 주둔지’라는 개념)이며, 교역자는 사관, 교인들은 하나님의 병사라는 개념이다. 구세군 총본부 격인 ‘대한본영’의 대표자는 ‘사령관’이라는 계급으로 호칭한다.
근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구세군의 자선냄비 시종식이 최근 신종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문에 사상 처음 ‘비대면(Untact)’으로 열렸다. 구세군은 코로나19로 더욱더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취약계층을 위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모금 참여를 호소했다.
구세군 한국군국은 12월 1일 오후 6시 중구 정동 1928 아트센터에서 구세군 자선냄비 시종식을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했다. 시종식이 실내에서 비대면으로 열리기는 1928년 자선냄비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행사는 외부인사 초청 없이 진행됐고, 축사와 공연 일부도 사전에 녹화된 영상 송출로 대신했다.
"올해는 어느 때보다 따뜻한 나눔의 손길 필요한 때, 거리 두기로 축소 진행되지만 풍성한 나눔 이뤄지길 기대합니다."
구세군은 코로나 시대에 맞춰 디지털 모금에 참여하는 방법도 안내했다. 후불교통카드와 온·오프라인 상에서 QR코드를 활용한 모금 등으로 접근성을 높인 것. 거리 모금 활동을 하는 서울 광화문과 대구 동성로, 대전역 모금 현장을 연결해 현장 상황을 온라인으로 전했다.
올해 구세군 자선냄비는 전국 328개 처소에 설치돼 약 4만여 명의 자원봉사자와 함께 12월 한 달 동안 시민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코로나 이후 기부문화가 다소 위축되어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들리는 가운데, 구세군은 올해 모금 목표액을 정하지 않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