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7 시리즈'의 주인공 제임스 본드 역할을 가장 훌륭하게 소화해
낸 영국배우 숀 코너리가 10월 31일 별세했다.
▲ 숀 코너리는 2000년 영국 여왕으로부터 기사작위를 받았다.
숀 코너리는 영화 '인디아나 존스'에서 존스 박사로 출연했다.
영국 여왕이 귀족이 아닌 평민에게 작위(Knight Bachelor 또는 Knighthood)를 수여하는 경우가 있다. 60년대를 풍미한 영국의 4인조 록밴드 <비틀스>의 멤버 링고 스타가 그랬고, 세계적인 축구선수 데이비드 베컴이 기사작위를 받았다. 이른바 ‘대영제국’을 세계에 알리는 데 현저하게 기여했다는 이유에서다.
최하위 서열이기는 하지만 가장 유서 깊은 기사 계급으로, 헨리 8세 때 처음 등장했다. 한때 유럽 다른 나라에도 있었으나 지금은 영국에서만 이 기사작위를 수여한다. 역사적으로 하급 기사는 기사단에 속하지 않아 휘하에 부하를 거느리고 출전할 수는 없는 사람들이다.
<햄릿(Hamlet)>의 명연기로 이름을 떨친 연극배우 로렌스 올리비에(Laurence Kerr Olivier)도 1907년에 기사작위를 받아 시선을 끌었다. 작위를 받으면 존경의 의미로 ‘써(Sir · 卿)’라는 칭호로 붙여 ‘써 올리비에’ 또는 ‘올리비에 卿’이라고 꼬박꼬박 불러준다.
영화 ‘007 시리즈’ 중 1대 제임스본드(James Bond)이자 영화 <인디아나 존스>에서 헨리 존스 박사로 잘 알려진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배우 숀 코너리(Sean Connery)도 2000년 엘리자베스 영국 여왕으로부터 기사작위를 받았다. 그런 그가 90세를 일기로 지난 10월 31일 세상을 떠났다. ‘영원히 죽지 않는다’ 던 007의 죽음에 많은 팬들이 애도하고 있다.
‘007 시리즈’ 또는 ‘제임스 본드 시리즈’는 <살인 번호>를 첫 작품으로 하는 영화 시리즈이다. ‘00(Nowhere 0)’은 살인 면허이고 007은 제임스 본드의 암호명이다. 실제로 영국의 해외정보국(M16)에서 요원들에게 붙여준 코드명 중의 하나이다. 살인 면허란, 공작임무를 수행하다가 설혹 살인을 한다 해도 국가가 그 책임을 대신한다는 의미에서 부여한 것인데, 지금도 그 직책이 몇 명 있다고 알려졌지만 확인은 어렵다.
제임스 본드는 영국해군 정보국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영국의 소설가 이언 플레밍(Ian Lancaster Fleming)이 1953년에 처음 공개한 픽션이다. 제임스 본드는 가공 비밀 요원의 이름이자 소설 시리즈. 1964년 플레밍이 사망한 이후에도 8명의 다른 작가가 본드를 주인공으로 소설을 저술했다. 이 시리즈의 인세는 최근까지 값을 헤아리기 어려운 가치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 첩보 영화 '007 시리즈'의 주인공 제임스 본드 역할을 가장 훌륭하게 소화해낸 영국배우 숀 코너리가 별세했다고 지난 31일 그의 아들이 발표했다. 아들의 외신을 통해 낸 성명에 따르면 "아버지가 바하마 자택에서 잠을 자던 중 평화롭게 숨을 거뒀다"며 "많은 가족이 임종을 지켜봤다"고 밝혔다. 쿠바 옆 나라인 서인도제도 바하마(Bahamas)는 코너리가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이기도 하다.
"아버지가 한동안 몸이 좋지 않았다"라며 "오늘은 아버지를 알고 사랑했던 모든 사람에게 슬픈 날이며, 그가 배우로서 준 멋진 선물을 즐긴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상실감을 안겨줬다"라고 가족들은 애도했다. 실제로 숀 코너리는 평소 1년여에 걸쳐 액션물 007시리즈 한편을 찍고 나서는 “너무 힘이 들어 거의 탈진상태에 있었다”고 술회한 바 있다.
▲숀 코너리가 자신의 뒤를 이어 007 역을 연기한 배우 피어스 브로스넌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가난한 노동자 가정에서 태어난 코너리는 우유 배달과 벽돌공 등을 하며 어린 시절을 보냈고, 축구에 재능이 있어 프로 선수를 꿈꿨다가 연기를 택했다. 1983년까지 6편의 '007시리즈'에서 제임스 본드 역을 맡은 그는 지금까지도 역대 제임스 본드를 연기한 배우 가운데 최고로 꼽힌다.
'007 시리즈' 이외에도 <오리엔트 특급살인> , <인디아나 존스 · 최후의 성전>, <더 록> 등에 출연하며 미국 · 영국 아카데미상, 골든글러브상을 수상했다.